GSA Conference Travel Award, University of Rochester, 2014.5
Lionel and Blanche McKenzie Family Fellowship Prize, University of Rochester, 2010 ~ 2011
Graduate Fellowship and Tuition Scholarship, University of Rochester, 2009~2014
BK 21 Graduate Fellowship, 연세대학교, 2007~2008
우등졸업, 연세대학교 상경계열, 2006.2
학술연구
Labor Supply within the Firm (with Michele Battisti and Ryan Michaels), Journal of Labor Economics, Volume 42, Number 2, pp.511-548, April 2024
“한국의 경기변동회계: 주요 경기침체 시기별 특징과 시사점,” 김현태와 공저, 한국경제의 분석패널, 2023년 4월, 제29권 1호 (KIF 연구보고서 2022-01을 일부 수정 및 보완하여 게재)
Consumption, Reservation Wages, and Aggregate Labor Supply, Review of Economic Dynamics, Volume 37, pp.54-80, 2020.
Accounting for Changes in House Prices and Rents in Korea, 2001-2016 (with Jay Hong and Joon Song), Korean Economic Review, Volume 36, Number 1, Winter 2020, pp.249-283.
KIF보고서
"이자 비용 상승의 소비 감소 효과에 대한 미시분석," 김현열과 공저, KIF 연구보고서, 2024-12, 2024
“대형 베이지안 VAR 모형을 활용한 경제전망과 시나리오 분석,” 박성욱과 공저, KIF 연구보고서, 2022-04, 2022
“한국의 경기변동회계: 주요 경기침체 시기별 특징과 시사점,” 김현태와 공저, KIF 연구보고서, 2022-01, 2022
“팬데믹 하에서의 재정정책 효과: 아동돌봄포인트의 소비 진작 효과 추정,” 권흥진·오태록과 공저, KIF 연구보고서, 2021-03, 2021
“제로금리 시대, 금융시장의 리스크와 대응과제,” KIF 연구위원 7인, KIF VIP 리포트, 2020-07, 2020
“균형거시모형을 이용한 한국의 주택가격 및 임차료 변동 요인 분석,” 송준·홍재화와 공저, KIF Working Paper 2018-02, 2018
“우리나라 주택담보대출의 동적특성: 그룹별 대출 및 연체 추세에 대한 미시분석,” 이보미와 공저, KIF 연구보고서 2018-01, 2018
“가계부채 부실화 가능성과 대응방안,” 임진·김영도·박종상과 공저, KIF 기타보고서, 2018
“Economic Fluctuations and Banking Sector: a Unified Analysis with a Financial Sector Augmented DSGE Model,” 김석기·심명규와 공저, KIF Working Paper 2017-04, 2017
“금리유형별 주택담보대출과 경기변동”, KIF 연구총서 2017-01 제2장, 2017
KIF금융브리프 [가계부채, 주택시장]
전세자금대출을 고려한 DSR 규제방안에 관한 논의, 금융브리프 33-19 (2024.9)
고령층 가계부채 잔액 비중 변화와 시사점, 금융브리프 33-08 (2024.4)
전세 제도의 거시경제적 위험과 정책과제, 금융브리프 32-07 (2023.4)
금리 상승에 따른 업권별 고(高)DSR 분포 변화와 시사점, 금융브리프 31-28 (2022.12)
금리인상에 따른 차주의 DSR 변화 분포와 시사점, 금융브리프 31-02 (2022.1)
가계부채 증가율 관리의 거시경제적 영향과 향후 과제, 금융브리프 30-21 (2021.10)
최근 권역별 가계대출 증가율의 특징과 시사점, 금융브리프 27-23 (2018.12)
우리나라의 장기 주택가격 변동요인, 금융브리프 27-13 (2018.6)
우리나라 인구구조 및 경제 환경 변화의 주택시장에 대한 영향, 금융브리프 27-06 (2018.3)
우리나라 주택담보대출의 연령대별 비중, 금융브리프 27-02 (2018.1)
글로벌 금융위기 전후의 신용공급과 채무불이행에 대한 논쟁, 금융브리프 26-23 (2017.11)
최근 연구문헌을 통해 본 우리나라의 가계부채와 소비, 금융브리프 26-07 (2017.4)
주거형태의 전월세 전환이 가계부채에 미치는 영향, 금융브리프 25-39 (2016.10)
저소득 취약계층에 대한 위험관리 측면에서 본 비소구 주택담보대출, 금융브리프 25-17 (2016.4)
주택담보대출의 거시경제적 파급효과, 금융브리프 25-07 (2016.2)
KIF금융브리프 [거시경제]
2025년 경제전망과 정책시사점, 금융브리프 33-23(S) (2024.11)
2024년 수정경제전망: 최근 경제 흐름 평가와 정책 시사점, 금융브리프 33-10(S) (2024.05)
건설 선행지표 악화의 건설투자에 대한 영향과 시사점, 금융브리프 32-22 (2023.11)
팬데믹 시기의 소비 여력에 대한 평가와 정책 시사점, 금융브리프 32-11 (2023.06)
최근 건설투자 추이의 특징과 시사점, 금융브리프 31-12 (2022.06)
코로나19 확산 이후 민간소비 변화의 특징과 시사점, 금융브리프 30-12 (2021.06)